중학생 자녀 경제교육

중학생 아이 스스로 ‘소비 vs 저축’ 비율 조정하는 훈련

mynews-rich 2025. 8. 7. 08:00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에게 용돈을 주며 “절반은 써도 되고, 절반은 저축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처럼 정해진 비율을 일방적으로 지시하면, 아이는 책임감을 갖기보다 단순히 따르게 됩니다.

스스로 소비와 저축 비율 조정하는 훈련

진짜 경제 감각은 아이가 **스스로 소비와 저축 비율을 정하고 조정**해보면서 생깁니다. 오늘은 자녀가 자기 돈의 흐름을 주도하는 법을 배우고, 용돈기입장을 통해 비율 조정 습관을 기르는 실전 훈련법을 소개합니다.

 

🤔 왜 자율적인 비율 조정이 중요한가요?

  • 자신의 소비패턴을 직접 인식하게 된다.
  • 저축을 “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일”로 인식하게 된다.
  • 목표에 따라 **비율을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이 생긴다.
  • 경제적 판단력과 자기통제력을 자연스럽게 배운다.

 

📋 단계별 훈련 방법

  1. 1단계 – 용돈 수입을 받은 뒤, 자유롭게 분배해보게 하기
  2. 2단계 – 1~2달간 기록한 후 본인의 소비 vs 저축 비율 분석
  3. 3단계 – 본인이 정한 ‘희망 비율’과 실제 비율 비교
  4. 4단계 – 목표 달성을 위한 조정 전략 세우기

 

📘 실제 사례 – “소비형에서 저축형으로 바뀐 지후”

중2 지후는 처음엔 용돈의 90%를 간식과 게임에 써버리는 아이였습니다. 부모는 강요하지 않고 “이번 달 지출 비율을 네가 스스로 정해보자”라고 제안했고, 지후는 처음엔 80% 소비 / 20% 저축으로 정했습니다.

이후 용돈기입장을 매주 함께 점검하며 “네가 정한 비율은 잘 지켜지고 있어?”라는 질문만 반복했습니다. 점점 지후는 **불필요한 소비를 인식**하게 되었고, 3개월 후 본인이 저축 비율을 40%까지 늘렸습니다.

 

📊 소비 vs 저축 비율표 양식 (모바일 대응)

총 용돈 소비액 저축액 소비 비율 저축 비율
6월 40,000원 32,000원 8,000원 80% 20%
7월 40,000원 28,000원 12,000원 70% 30%
8월 40,000원 24,000원 16,000원 60% 40%

 

📝 용돈기입장 활용 팁

  • 항목 옆에 “(소비)” 또는 “(저축)” 태그를 달기
  • 매월 말, 총 소비·저축 비율 합산하기
  • 이전 달과 비교해 비율의 변화 기록 남기기
  • 분기별로 **스스로 설정한 이상적인 비율**을 다시 점검

 

💬 자녀와 나눌 수 있는 대화 예시

  • “이번 달 저축 비율은 어땠어?”
  • “만족스러웠던 지출과 아쉬운 소비는 뭐였을까?”
  • “다음 달에는 어떤 비율로 조절해보고 싶어?”
  • “목표가 있다면 그에 맞는 비율은 몇 %일까?”

 

🎯 비율 훈련 목표 수립표 예시

[비율 목표 설정]

🗓 기간: 9월  
💰 예상 수입: 40,000원

🧠 내가 정한 목표 비율  
- 소비: 60% = 24,000원  
- 저축: 40% = 16,000원  

📌 이번 달 특별 목표: 책 구매를 위한 저축  
📌 계획: 매주 4,000원씩 저축  
📌 중간 점검 날짜: 9월 15일
  

 

🌱 아이가 직접 조절하면서 얻게 되는 변화

  1. 자신의 소비 성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2. 저축을 외부 강요가 아닌 스스로 선택한 일로 여기게 됩니다.
  3. 경제 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아집니다.
  4. 목표에 따른 재정 설계 습관이 형성됩니다.

 

📌 마무리 요약

아이가 스스로 저축과 소비의 비율을 조정해 본다는 것은 단순한 숫자 훈련이 아닙니다. 경제 자율성, 선택의 책임, 장기적 시야를 동시에 길러주는 훈련입니다.

오늘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다음 달엔 네가 정한 비율대로 한 번 해보자.” 그 순간부터 경제 교육은 지시가 아닌 **스스로의 선택**으로 바뀝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