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자녀 경제교육

중학생 자녀가 용돈의 10%를 미리 떼어 저축하는 습관 만들기

mynews-rich 2025. 8. 6. 15:00

“저축은 나중에 남으면 하는 거예요.” 많은 아이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하지만 진짜 경제 습관은 ‘남아서’가 아니라 ‘먼저 떼어놓고’ 시작됩니다. 지출하기 전에 일정 비율을 자동으로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면 돈이 많든 적든 경제적으로 안정된 사고방식을 키울 수 있습니다.

용돈의 10%를 저축하는 습관 만들기

오늘은 자녀가 용돈을 받을 때마다 무조건 10%는 저축하는 습관을 자연스럽게 들이게 하는 실전 교육법을 소개합니다.

💡 왜 10%인가요?

  •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율
  • 수입이 늘어나도 유지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습관
  • 조금씩 쌓이는 것을 직접 체험할 수 있어 동기 부여에 효과적

💬 아이와의 대화로 습관 만들기

  • “매번 용돈을 다 써버리면 아깝지 않을까?”
  • “10% 정도는 항상 저축한다면 나중에 필요한 일이 생겼을 때 유용할 거야.”
  • “조금씩 모으는 재미, 해보고 싶지 않아?”

📋 10% 저축 시스템 설계표 (예시)

용돈 금액 저축 비율 저축액 사용 가능 금액
20,000원 10% 2,000원 18,000원
30,000원 10% 3,000원 27,000원
15,000원 10% 1,500원 13,500원

📘 실제 사례 – “자동 저축 습관이 생긴 민재”

중2 민재는 매주 2만 원씩 용돈을 받으며 대부분 간식비로 써버리곤 했습니다. 부모는 “처음 2천 원은 무조건 저축 통장에 넣자”는 규칙을 제안했고, 민재는 주마다 자동으로 10%를 떼는 습관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5개월이 지난 후, 민재는 4만 원이 넘는 금액을 저축했고 그것으로 자기가 진짜 갖고 싶던 이어폰을 직접 구매했습니다. “이건 누가 사준 게 아니라 내가 스스로 이룬 거예요.”라는 말이 부모를 뭉클하게 했습니다.

🧠 자동 저축 습관 만드는 단계

  1. 1단계 : 용돈 받는 날, 10% 먼저 떼기
  2. 2단계 : 저축한 금액은 절대 사용하지 않도록 약속
  3. 3단계 : 저축 내역을 용돈기입장에 별도로 기록
  4. 4단계 : 1달, 3달, 6달 단위로 축적된 금액 시각화

📄 용돈기입장 기록 예시

[용돈기입장 예시]

🗓 날짜: 8월 5일  
💰 받은 용돈: 20,000원  
💸 사용 가능 금액: 18,000원  
🏦 저축한 금액 (10%): 2,000원  
📌 저축 목적: 이어폰 구매를 위한 장기 저축  
💬 느낀 점: 처음엔 아깝지만, 통장에 돈 쌓이는 거 보니까 뿌듯하다.
  

✅ 아이가 저축에 흥미를 갖도록 도와주는 도구

  • ✔ 시각화 차트: 저축 금액 누적 그래프 그려보기
  • ✔ 스티커 보상제: 일정 금액 이상 저축 시 칭찬 도장 제공
  • ✔ 저축 목표 칠판: 사고 싶은 물건을 그림으로 붙여 시각화
  • ✔ 월간 저축 리포트: 부모와 함께 저축 달성률 점검

💬 부모가 조심해야 할 말

  • “왜 그걸 또 사고 싶어 해?” → X
  • “그 돈은 내가 줬으니까 내가 결정해.” → X
  • “이걸 사면 다음엔 못 사.” → X
  •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그걸 사려면 얼마나 저축하면 될까?” “이번에 10% 저축한 거, 잘했어!”

📎 가정에서 쉽게 실천 가능한 규칙 만들기

1. 용돈 받는 날 바로 분리하여 저축액 확보 2. 저축 전에는 어떤 지출도 하지 않기 3. 목표가 없는 저축도 ‘예비비’라는 이름으로 구분 4. 중간 점검: 부모와 주 1회 함께 기록 확인

🌱 저축 습관을 들인 아이가 얻게 되는 변화

  1. 돈을 쓰기 전에 먼저 저축하는 습관이 몸에 배입니다.
  2. 작은 성취 경험이 경제 자신감으로 이어집니다.
  3. 필요한 소비와 불필요한 소비를 구분할 수 있는 눈이 생깁니다.
  4. 목표와 계획의식이 강화됩니다.

📌 마무리 요약

자녀가 “저축은 남은 돈으로 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먼저 저축하고, 나머지를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게 하세요.

단 10%만으로도 아이는 자기 통제력, 계획력, 책임감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매주 조금씩 쌓인 그 돈은 단순한 금액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성장했다는 자존감의 증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