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자녀 경제교육

중학생 자녀 저축통장 or 저금통, 어떤 게 더 효과적일까?

mynews-rich 2025. 8. 7. 12:00

“아이에게 저축을 가르치고 싶은데, 통장이 나을까요? 저금통이 나을까요?” 경제교육을 고민하는 많은 부모들이 한 번쯤 던지는 질문입니다. 하지만 정답은 하나가 아닙니다. 아이의 성향, 연령,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축통장 대 저금통 어떤 게 효과적일까

이 글에서는 중학생 자녀에게 가장 적합한 저축 방식이 무엇인지, 저금통과 저축 통장의 차이, 활용 방법, 실제 사례를 통해 부모가 올바른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 비교: 저금통 vs 저축 통장

구분 저금통 저축 통장
접근 방식 직접 눈으로 확인 가능 앱 또는 통장으로 확인
저축 동기 눈에 보이는 성장 이자나 장기 관리 유도
지출 통제 꺼내기 쉬워 충동 지출 위험 ATM 필요, 지출 방지 효과
목표 설정 단기 목표에 적합 장기 목표에 적합
학습 포인트 눈에 보이는 돈 관리 금융 시스템 이해, 기록 훈련

 

🎯 상황별 추천

  • 아직 저축의 개념이 생소하다면 → 저금통
  • 이미 목표 저축 습관이 있다면 → 저축 통장
  • 매주 용돈을 받고 지출 빈도가 높다면 → 통장 활용이 지출 통제에 도움
  • 단기 목표(간식, 문구) 위주라면 → 저금통도 효과적

 

📘 실제 사례 – “저금통에서 통장으로 성장한 나영이”

중1 나영이는 매주 저금통에 3,000원씩 모으는 습관을 들이고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목표보다 자주 꺼내 쓰는 일이 늘었고, 부모는 **저축 통장 개설을 제안**했습니다.

처음엔 “통장은 재미없어”라고 했던 나영이는, 용돈기입장을 통장 잔고와 연결해서 작성하면서 통장이 주는 안정감과 쌓이는 금액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통장에 있는 돈은 진짜 아끼게 돼요.”라고 말하며 장기 목표를 위한 계획도 스스로 세울 정도로 변화했습니다.

 

🧠 부모가 선택 전 고려할 4가지 질문

  • 📌 자녀는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 중 무엇에 관심이 많은가?
  • 📌 자녀가 직접 돈을 관리할 때 충동 소비 성향이 있는가?
  • 📌 디지털 기록보다 손으로 만지고 보는 방식이 익숙한가?
  • 📌 자녀가 금융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조금씩 배워가는 단계인가?

 

📝 용돈기입장에 저축 수단 기록하는 법

[용돈기입장 기록 예시]

🗓 날짜: 8월 7일  
💰 수입: 20,000원  
🏦 저축 수단: 통장 (우리은행 주니어 통장)  
💸 저축 금액: 4,000원  
🧾 사용 금액: 14,000원  
📌 비고: 다음달 스마트워치 구매 목표
  

 

🧩 하이브리드 방식도 가능할까?

많은 부모들이 “하나만 선택해야 할까?”라고 묻지만, 꼭 그렇지 않습니다. 저금통 + 저축 통장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방식도 충분히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 주간 저축은 저금통에 보관하고,
  • 한 달에 한 번 통장으로 입금하는 방식

이렇게 하면 자녀는 돈을 직접 만지며 느끼는 재미장기 누적 관리의 효과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저금통 활용 팁

  • 투명 저금통으로 쌓이는 돈을 시각화
  • 목표 금액 도달 시 ‘저축 성공 도장’ 지급
  • 돈을 꺼낼 땐 꼭 기록하게 하기
  • 주 1회 가족 회의 시간에 저금통 개봉 여부 점검

 

✅ 저축 통장 활용 팁

  • 아이 이름으로 된 청소년 전용 통장 개설
  • 잔액 조회 및 입출금은 부모와 함께
  • 이자 발생 여부 설명해주기 (소액이라도)
  • 목표 기반으로 통장을 분리(예: 캠프비, 전자기기 등)

 

📌 마무리 요약

어떤 저축 방식이 더 낫다고 단정하기보다, 아이의 현재 경제 습관, 관심도, 성향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저금통으로 습관을 들이고, 일정 수준 이상 경제 감각이 생겼다면 통장으로 전환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돈을 모으는 '도구'보다 '경험'**입니다. 아이가 저축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게 된다면, 어떤 방식이든 경제 교육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